지역뉴스

콜롬비아 50년 내전, 대통령 결선투표가 고비

2014-06-08l 조회수 2701

지난 5일 콜롬비아 수도 보고타에서 후안 마누엘 산토스 대통령 지지자들이 ‘평화’라는 글귀를 쓴 손바닥을 펼쳐 보이고 있다. 산토스 대통령은 반군과의 평화협상을 통해 50년간의 내전을 끝내겠다는 정책을 추진해 왔다. 보고타/AP 뉴시스

평화협상을 마무리할 수 있는 기회를 달라.”(후안 마누엘 산토스 대통령)


처벌 없는 평화는 없다.”(오스카르 이반 술루아가 대선후보)


15일 콜롬비아 대선 결선투표를 앞두고 1964년부터 50년간 지속된 내전을 끌 낼 방안을 둘러싼 평화 협상파 대통령과 강경파 후보의 대결이 뜨겁다. 투표를 앞두고 산토스 대통령이 이끄는 현 정부와 반군은 평화를 향해 중요한 걸음을 내디뎠지만, 대선 결과에 따라 반군과의 협상은 물거품이 될 수도 있는 기로에 서 있다.

 

콜롬비아 정부와 좌파 반군인 콜롬비아무장혁명군’(FARC)7일 내전 희생자를 위한 진실위원회설립에 합의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납치·살인·고문·성폭력 등 내전 기간에 벌어진 민간인 피해에 대해 양쪽은 서로 책임을 전가해왔다. 그러나 이날 합의로 정부와 반군은 희생자에 대한 책임을 공동으로 인정하기로 했다. 쿠바의 아바나에서 진행되고 있는 평화 협상에는 피해자 가족들도 참여하게 된다. 영국의 <비비시>(BBC) 방송은 일단 평화를 향한 중대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반군 쪽의 적극적인 협상 태도도 엿보인다. 반군은 69일부터 30일까지 휴전도 선언했다. 반군이 정부 쪽의 조처를 요구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휴전을 선포한 것도 이례적이다.

 

2010년 집권한 산토스 대통령은 2012년부터 주도적으로 반군과의 평화협상을 벌여왔다. 최근 2년간 농지 개혁, 반군의 정치 참여, 마약밀매 금지 등 3개 의제에 대한 합의를 이끌어 냈다. 이번에 구성하는 진실위원회는 1964년부터 시작된 콜롬비아 무장혁명군과 정부군의 대립 과정에서 발생한 피해자들을 보듬게 된다. 내전 50년 동안 22만명의 민간인이 희생되고, 500만명 이상이 집과 고향을 잃은 것으로 알려졌다. 진실위원회는 민간인 피해의 원인과 결과 등에 대한 진상을 규명하고, 희생자 권리 인정 등을 통해 통합을 이룬다는 계획이다. 정부와 반군 양 쪽은 성명을 통해 내전 희생자들을 피해자로서만 아니라 권리를 가진 시민으로 인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앙 정부의 수탈과 강압에 반발한 마르크스주의 농민 봉기대 40명으로 시작한 콜롬비아 무장혁명군은 1990년대엔 국토의 3분의1을 장악하고 수도 보고타까지 위협할 정도였다. 하지만 2000년대 미국 부시 행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업은 콜롬비아 정부군의 대대적인 진압 작전으로 규모가 2001년의 16000명에서 현재 8000명 수준으로 줄었다.

 

15일 대선 결선 투표는 평화 협상에 대한 국민투표성격이 강하다. 산토스 대통령은 재선에 성공하면 반군과의 협상을 지속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반면, 강력한 대항마이자 전 재무장관인 술루아가 후보는 협상을 불신하고 비난한다. 그는 종전 협정이 이뤄지더라도 반군이 무장을 해제하고 돈줄인 마약밀매에서 손을 떼지는 않을 것이라고 비판하며 협상 무용론을 내세운다. 지난달 대선 1차 투표에서는 협상을 내세운 산토스 대통령(25.6% 득표)이 술루아가 후보(29.3% 득표)에 뒤졌다. <로이터> 통신은 15일 결선투표를 앞둔 3개 여론조사 기관의 조사도 백중세, 산토스 우세, 술루아가 우세 등으로 엇갈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출처: 한겨레 (2014.6.8.)

http://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641400.html

 

 첨부파일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