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진출 꿈꾸는 내륙국 볼리비아, 칠레 영토문제 “양보 못해”
국제 원자재 가격이 약세를 보이면서, 자원의존도가 높은 남미 국가 대부분은 경제 사정이 나빠졌다. 최근 국제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남미 경제 규모 1위인 브라질의 신용등급 전망을 ‘부정적’으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다.
이 가운데 올해도 4% 안팎의 경제성장률을 기대하는 남미 국가가 있다. 볼리비아다. 지난달 국제 신평사 피치는 볼리비아의 재정정책과 경제정책이 적절하다고 평하고, 국가 신용등급을 ‘BB-’에서 ‘BB’로 한 단계 올렸다. 볼리비아 원자재 생산업체들은 국제 원자재 가격이 하락하자 수출계약을 장기로 체결하고 생산량을 늘리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자원 개발 산업을 총괄하는 볼리비아 정부의 판단이 반영된 것이다.
“2006년 40억달러(약 4조6700억원)였던 볼리비아의 수출 규모는 2014년 120억달러로 늘었습니다. 현재 볼리비아의 국내총생산(GDP)의 60%에 해당하는 140억달러가 각종 투자사업에 쓰입니다. 천연가스를 국가의 전략자원으로 지정해 관련 사업체를 국유화하고, 사회복지제도를 강화해 빈곤층을 줄인 정책이 주효한 것이죠.”
경제 뿐 아니라, 사회 정책의 목표도 ‘평등’이다. 볼리비아는 지난 2009년 개헌을 통해 ‘공화국(Republic)’에서 ‘다민족국가(plurinational state)’로 이름을 바꿔달았다. 볼리비아 내 문화, 언어적 다양성을 적극적으로 인정하겠다는 의미다. 인구의 80%가 스페인어를 사용하지만 소수민족의 언어까지 공용어로 지정했다. 케추아어, 아이마라어, 과라니어 등 37개 언어가 공용어다.
양성평등도 볼리비아 정부의 중점 과제다. 내각의 50%는 의무적으로 여성에게 할당하고, 정당들은 비례대표제 명단에 여성 후보를 반드시 넣어야 한다. 2013년 세계경제포럼(다보스포럼) 보고서에 따르면, 볼리비아의 양성평등 순위는 27번째로 높다.
―에보 모랄레스 대통령은 지난해 3선에 성공했다. 경제 분야에서 현 정부의 우선 과제는 무엇인가.
“경제 영역의 중점 과제는 빈곤 퇴치다. 볼리비아는 천연자원이 풍부한데, 자원개발로 얻은 수입 대부분을 정부 예산으로 쓴다. 사회복지제도는 청소년, 여성, 노인 등 사회취약층에 대한 지원에 초점을 맞춘다. 저소득층 가계에는 자녀들을 학교에 보낼 수 있도록 지원금을 주고, 모든 산모에게 출산 후 최장 1년까지 식료품을 지급한다. 60세 이상 노년층에게는 매달 현금으로 200볼리비아노(약 3만5000원·미화 약 29달러)를 지급한다. 볼리비아의 최저임금이 월 360달러(약 42만원)라는 점을 감안하면, 적은 액수가 아니다.”
―아시아나 태평양, 아프리카 등에선 역내 경제 협력이 강해지는 상황이다. 볼리비아는 이웃 남미 국가들과 어떻게 협력하나. 최근에는 남미공동시장(MERCOSUR) 회원국 가입 승인도 받았는데.
“볼리비아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페루, 파라과이, 우루과이 등 에너지 자원을 보유한 이웃나라들과 수출 협정을 체결했다. 남미 대륙의 중앙인 볼리비아의 지정학적인 이점을 살려, 에너지 산업의 허브(중심지)가 되겠다는 구상이다.
지난달 17일 우리(볼리비아) 대통령이 브라질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남미공동시장 가입 협정에 서명했다. 아직 정식 회원국이 되려면 거쳐야 하는 절차가 남았다. 회원국 중 하나인 파라과이 의회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파라과이 쪽에서 제기한 불만과 요구 사항을 협상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중략]
출처: 조선비즈(2015. 8.4.)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5/08/04/2015080402006.html
첨부파일 (1개)
- 2015080401938_0.jpg (110 KB, download: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