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단행본

착각하는 인간 - 허무주의와 실존주의를 극복하는 AI시대 인생론

착각하는 인간 - 허무주의와 실존주의를 극복하는 AI시대 인생론

  • 김창민
  • 간디서원
  • 2024.12.16

책소개

우리는 하루하루 바쁘게 살아가고 있지만, 마음 한구석에는 ‘나는 누구인가?’ ‘나는 잘살고 있는 건가?’ 하는 질문을 늘 지니고 다닌다. 그리고 그 질문 이면에는 허무주의가 그림자처럼 어른거린다. 오늘날 우리가 당면한 큰 과제 중 하나는 허무주의를 극복하는 일이다.

대한민국이 세계 1위의 자살률을 기록하는 이유로는 지나친 경쟁과 황금만능주의가 초래하는 인간관계의 단절과 상대적 박탈감을 꼽을 수 있겠지만, 그에 못지않게 삶에 대한 허무주의도 한몫을 차지한다. 현대 과학이 이룬 성과를 근거로 생각해 보면, 허무주의는 자아와 세계에 대한 비과학적 이해에서 비롯된다. 세계와 나, 나와 타인을 분리해서 인식하고, 나를 세계에 내던져진 존재로 인식하고, 타인을 오로지 대립과 경쟁의 대상으로만 바라보는 서구의 개인주의가 초래한 잘못된 세계관에서 비롯된다.

사실, 인간의 몸은 100조 마리 이상의 미생물과 함께 사는 하나의 공생체이고, 나와 세계, 나와 타자는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마치 어머니 배 속에서 어머니와 나는 한 몸이듯이, 나와 환경, 나와 자연은 분리 불가능한 한 몸인 것을 현대 과학은 입증하고 있다.

이 책은 천문학, 진화생물학, 뇌과학 등 현대 과학의 성과와 문학, 철학, 심리학 등 인문학의 지혜를 종횡으로 엮어낸 ‘인간 설명서’이자 ‘인생 지침서’이다. 오늘날 인류와 지구를 파멸의 위기로 몰아넣은 서구의 개인주의가 낳은 허무주의와 실존주의를 극복하고, 불확실성으로 가득한 AI 시대를 대비하는 대안적 인생론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나는 후회 없는 인생을 살고 있는가?

제1장 인간은 미미하나 기적 같은 존재

지구는 우주 속의 먼지 9
인간은 찰나를 살다가는 존재·21 / 왜 모든 생명은 소중한가?·22
내 생명은 로또 중의 로또 당첨! 25
얼마에 당신의 두 눈을 팔겠는가?·27 / 우주적 차원의 나를 생각하라·29

제2장 나는 누구이며, 어떤 존재인가?
장자(莊子)의 ‘과학적’ 사고 35
나는 어떤 존재인가?·38 / 나란 존재는 언제 시작되었을까?·41 / 나 또한 고정된 존재가 아니고 쉼 없이 변화하는 존재다·46 / 나는 내 몸 세포와 미생물로 이루어진 공생체·49 / 지구상의 생명들은 하나의 거대하고 복잡한 네트워크·52
나와 나의 환경은 한 몸 55
나를 둘러싼 환경을 배제한 나의 정체성은 상상할 수 없다·60 / 어떻게 인간은 협소한 자의식을 갖게 되었나?·64
고정된 실체로 존재하는 사물은 없다 67
고대 철학과 종교의 약점·72 / 정신은 물질이 창조한 것이고, 물질은 정신이 창조한 것이다·75 / 우주의 모든 대상에 본래의 속성이란 존재하지 않는다·78 / 나와 세계는 분리할 수 없는 한 덩어리· 81

제3장 죽음이 있어 삶이 아름답다!
영원히 사는 자의 고통 87
종교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90 / 윤회는 있는가, 없는가?·92 / 죽음이 있기에 우리의 삶은 소중하다!·96
늘 죽음을 의식하라! 100
죽음은 우리를 진정한 삶으로 이끈다·101 / 위인들의 죽음에 대한 확고한 철학·103

제4장 착각 속에 사는 호모 사피엔스
헛똑똑이 호모 사피엔스 109
착각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110 / 우리에게 ‘객관적 이성’이 존재할까?·113
사고와 감각은 문화의 산물 116
선이 악이 되고, 악이 선이 되기도 한다·119 / 시대에 따라 미인의 기준도 변한다·121 / 나의 오감과 감정도 문화의 산물이다·125
모든 것은 고정된 의미가 없다 130
어떤 단어나 문장도 고정된 의미는 없다·132 / 같은 작품도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 따라 변한다·134 / 나의 사고도 문화적 영향에서 벗어나기 어렵다·140

제5장 사회적 동물의 숙명, 외로움
인간은 사회를 만들고, 사회는 인간을 만든다 145
나의 사고와 정체성은 사회가 만든다·148 / 나의 가치관도 사회와 시대가 만들어 낸 것·151
외로운 인간, 호모 솔루스 154
외로움은 생존 메커니즘이다·156 / 예수님은 왜 행복했을까?·158 / 마콘도 마을의 평화가 깨진 이유·161
사회적 동물이기에 생기는 감정들 164
공감 능력은 사회생활의 필수적 감정·166 / 동물들도 이타심을 보인다·168 / 사회적 존재이기에 생기는 감정들·170

제6장 나는 욕망의 주체인가, 노예인가?
나의 욕망은 어디에서 오는가? 175
욕망은 인간 행동의 원동력 ·176 / 인간의 가장 큰 욕망·178 / 사회적 동물이기에 생기는 욕망·181 / 자본주의 사회는 어떻게 개인의 욕망을 통제하는가?·185 / 황금만능주의 사회의 숙명·189
행복한 삶에 이르는 지혜 190
재물은 바닷물과 같아서 마실수록 더 갈증을 느낀다·192 / 욕망의 주체가 되라·194 / 원만한 인간관계는 건강과 행복의 열쇠·198 / 행복은 감정의 노예가 되지 않는 데 있다·199

제7장 인생의 의미는 무엇일까?
열정적으로 살되 결과에 집착하지 말라! 205
인간과 사회, 자연환경은 모두 나의 삶을 결정하는 복잡계·207 / 인생의 의미는 무엇일까?·210 / 인간이 지닌 최고의 가치·214
지혜로운 삶을 위한 10가지 사고 습관

에필로그
허무주의와 실존주의를 극복하는 AI시대 인생론 230

찾아보기 239